사람만 쓸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많은 동물들이 쓸개를 가지고 있죠. 특히 약으로 쓰이는 유명한 동물의 쓸개로는 곰의 쓸개(담낭)인 웅담과, 비록 쓸개는 아니지만 소의 쓸개즙(담석)인 우황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 시간에 하고, 오늘은 쓸개가 없는 동물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쓸개가 없는 동물(척추동물)로는
대부분의 사슴종 및 아프리카에서나 볼 수 있는 낙타, 기린, 얼룩말을
포함한 말 종류, 코뿔소나 일부 쥐, 고래 등이 있습니다. 물론 저도 쓸개가 없습니다. 하지만 쓸개가 없다고 해서 소화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쓸개 자체가 지방산을 용해시키는 쓸개즙(담즙)을 직접 생성하는
기관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쓸개즙은 지방의 소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므로, 어떤 동물이든 간에서 쓸개즙을 생성합니다. 쓸개는 단지 쓸개즙을
저장해두었다가 농축시켜 필요할 때 사용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왜 어떤 동물은 쓸개가 있고 어떤 동물은 없는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명확히 규명된 바는 없습니다. 다만 쓸개의 역할을 고려컨데, 사냥을 통해 먹이를 한번에 많이 먹었다가 휴식을 취하는 육식동물들의 경우 쓸개즙이 일시적으로 많이 필요하므로 이를 모아둘 수 있는 쓸개가 발달되었을 것입니다. 반면 말, 사슴 등 초식동물 같이 야생에서 수시로 풀을 뜯어먹는 동물은 쓸개즙이 지속적으로 소요되므로 쓸개의 기능이 퇴화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데 같은 초식동물이라도 말은 쓸개가 없지만 소는 쓸개가 있습니다. 이 역시 그 이유가 명확히 밝혀지진 않았습니다. 다만 말의 경우 주로 야생에서 풀을 뜯어먹고 살기 때문에 지방을 섭취할 일이 거의 없었을 것입니다. 또한 빠른 발걸음으로 하루종일 돌아다니며 수시로 풀을 뜯어먹으므로 쓸개즙을 저장할 필요가 없었을 것입니다. 이 때문에 말은 쓸개가 퇴화한 것입니다.
<말은 돌아다니면서 소화 시키므로 쓸개가 필요없습니다>
반면 소의 경우에는 거대한 덩치 때문에 잦은 이동이 불가하므로, 많은 양의 풀을 한번에 뜯어먹은 후 위험이 없는 곳에서 되새김질을 하며 천천히 소화를 시켜나갑니다. 이 때문에 4개의 커다란 위장이 발달하였고, 또한 일시적으로 많은 양의 쓸개즙이 필요하므로 쓸개 역시 발달된 것입니다.
<소는 되새김질하며 천천히 소화시키므로 쓸개가 발달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소의 쓸개 안에서 쓸개즙이 너무 농축이 되면 딱딱하게 굳어 담석이 되는데, 이것이 청심환의 주 재료가 되는 ‘우황’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시간에 좀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담낭 질환 정보 > 담낭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을 분해하는 쓸개즙은 담낭에서 나온다 (0) | 2018.07.06 |
---|---|
누구나 회식 다음날 쓸개즙을 맛본다 (0) | 2018.07.04 |
담낭 제거 수술에 대한 생생한 정보를 나누고자 합니다 (0) | 2018.07.03 |